[이달의 공예] 05. 나전칠기
이달의 공예 vol.05
나전칠기
소라 나螺 세공 전鈿 옻 칠漆 그릇 기器
나전공예는 칠공예의 장식 기법의 하나로, ‘나전칠기’는 얇게 다듬은 자개 조각을 옻칠한 기물 표면에 붙여 장식한 공예품을 뜻합니다. 나전칠기를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재료는 옻나무 수액인 칠과 자개로, 자개는 전복이나 소라, 진주조개 등이 주로 쓰입니다. 나전칠기는 칠을 한 기물 위에 자개로 장식한 뒤 연마, 옻칠, 광내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완성하며 영롱하고 아름다운 광택과 빛깔이 특징입니다.
‘나전’이라는 말을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모두 쓰이던 말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자개’라는 고유어를 써 왔습니다. 자개로 문양을 만드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가장 대표적인 기법으론 ‘끊음질’과 ‘줄음질(주름질)’이 있습니다. ‘끊음질’은 실처럼 길고 가늘게 자른 자개인 ‘상사(詳絲)’를 정교하게 끊으며 붙여나가는 기법입니다. 주로 고려시대에 사용되었으며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성행하는 기법으로, 한국 나전칠기의 전통적인 기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줄음질(주름질)’은 자개 위에 도안을 그려 실톱, 가위, 칼 등으로 정교하게 잘라 문양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아주 미세한 곡선 등 세밀한 문양까지도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 오늘날까지도 이어지는 기법입니다.
오늘날의 나전칠기는 단순히 전통가구나 공예품을 넘어 텀블러나 마우스와 같은 생활용품이나 회화, 미디어아트와 같은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제 나전칠기의 영롱한 아름다움을 용산공예관에서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용산공예관과 용산공예홍보관 공간(工間)에서는
아름답고 영롱한 나전칠기 공예품을 전시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전칠기를 직접 만들고 배워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니
방문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용산공예관]
※ 문의 : 02-2199-6180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로 274 용산공예관
※ 운영시간 : 화~일 10:00~19:00 (매주 월요일 및 법정 공휴일 휴관)
[용산공예홍보관 공간(工間)]
※ 문의 : 02-2012-2226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아이파크몰 리빙파크 3층
※ 운영시간 : 평일·주말 10:30~20:00